목표:
-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docker를 왜 사용해야할까?
- 프런트앤드 개발자는 docker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?
- docker시작하기(환경구축)
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docker를 왜 사용해야할까?
1.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배포가 편해집니다.
- 독리된 개발환경 보장
- 서비스를 개발했을 때 사용했던 환경을 '도커 이미지'라는 패키지로 만들어 복제
- 커널을 포함하지 않아 이미지가 크지않다.
- 도커 이미지의 중복되는 레이어를 재사용
2.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독립성과 확장성이 높아집니다.
- 모노리스(monolith): 여러 모듈이 상호작용하는 로직을 하나의 프로그램 내에서 구동시키는 방식
- 마이크로 서비스: 여러 모듈을 독립된 형태로 구성하기 때문에 언어에 종속되지 않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.
도커는 원래 리눅스에서 작동하는 데 최적화돼 있으므로 윈도우, 맥 OS X에서 도커를 사용하면 일부 기능이 제약될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VirtualBox, VMWare를 사용해 도커를 설치할 수 있는 리눅스 환경을 마련해 보겠습니다.
VM로 우분트를 설치해보았는데 너무 느려서 터미널에 글이 입력이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.
아무래도 VM은 OS를 추가적으로 띄우는 것이라 엄청 느리네요.
WSL로 리눅스를 사용하겠습니다.
WSL이란?
Window Sub-system for Linux의 약자로, 윈도우의 하위 시스템으로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Microsoft에서 발표한 WSL은 Windows 운영체제에서 경량화된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Linux 운영 체제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.
WSL의 만들어진 흐름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서술되어 있는 블로그가 있다.
'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evops란 (0) | 2022.07.21 |
---|---|
[소나큐브]vue.js에 소나큐브(정적분석) 연동하기 (0) | 2022.07.18 |
Azure Devops로 Vue.js 프로젝트 CI/CD구현 (0) | 2022.04.18 |